본문 바로가기
NCS의 기초/- 자료해석

증가율, 감소율, 지수 : 초간단 자료해석 가이드 (23)

by SEE NCS 2024. 6. 10.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증가율, 감소율, 지수'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증가율은 이미 대부분이 알고 계실 것이라 생각이 드는데요. 간단한 개념 설명 후에 예제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증가율이란, 원래의 값에서 증가한 양을 원래의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값에 100을 곱한 값을 말합니다. 여기서 100을 곱하지 않았을 때가 지수, 100을 곱했다면 증가율 이라고 나누어 표현해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Q) 100 이라는 숫자가 200 이 되었다고 할 때, 지수와 증가율은 얼마인가?

A) 100이 200이 되기까지 증가량은 100이므로 이를 다시 100으로 나누어 주게 되면 지수는 1, 증가율은 100% 네요.

그럼 문제를 바꿔서,

Q) 100 이라는 숫자가 250 이 되었다고 할 때, 지수와 증가율은 얼마인가?

A) 지수는 1.5, 증가율은 150% 입니다.

복잡한 식을 외울 필요 없이 간단하게 생각해서 증가율이란, '증가량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라고만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보기보다 간단하죠? 감소율은 증가율의 반대이므로,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마이너스만 붙이면 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문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된 예제는 2문제입니다.


증가율, 감소율, 지수 - 문제 1
증가율, 감소율, 지수 - 해설 1
증가율, 감소율, 지수 - 문제 2
증가율, 감소율, 지수 - 해설 2


 

어떠셨나요? '증가율, 감소율, 지수' 는 이론은 정말 간단하지만, 실전에서 만나게 될 경우 계산을 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난이도가 다소 있는 유형에 속해 있습니다. 때문에 계산이 약하신 분이라면 다소 까다로운 유형이 되겠습니다.

예제에서 같이 살펴보았듯이 정확한 계산이 필요없을 경우, 숫자를 계산하기 편한 수로 변경해서 어림하는 것이 시간과 정확도를 잡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게 보면 사실상 '증가율, 감소율, 지수' 유형도 결국 어림산 유형이라고 봐도 무방하겠네요. 그동안 어림산을 왜 그렇게 강조했는지 이제는 아시겠죠? ㅎㅎ

자료해석의 끝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조금만 더 힘내보시죠 !

눈으로 푸는 자료해석 여정은 '증가율, 감소율, 지수 : 초간단 자료해석 가이드 (24)' 로 이어집니다.

 

 

증가율, 감소율, 지수 : 초간단 자료해석 가이드 (24)

이번 포스팅에서는 계속해서 '증가율, 감소율, 지수' 를 연습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잘하고 계실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지만 지금부터는 문제를 풀어나갈 때에 알려드린

seencs.tistory.com

 

 

 

자료해석 영역은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음부터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자료해석 공부의 핵심 : 눈으로 읽고 빠르게 푸는 전략 (1)

처음 자료해석을 입문할 당시 제 얘기를 잠시 드리자면 '학부 시절 수학 과목에선 상위권을 놓치지 않았고, 수능 1등급이었는데 자료해석도 쉽게 풀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안일한 생각을 했습니

seenc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