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평균, 가평균' 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가중평균을 학습한 우리로서는 누워서 떡 먹기라고 할 수 있는데요 ㅎㅎ..
앞서 평균 은 '중심에서 각각에 이르는 거리의 중간' 이라고 알려드렸는데요. 가평균도 원리는 이와 동일합니다. 다른 점은 평균을 임의로 가정한 뒤, 거리를 비교하여 진짜 평균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Q) 표의 값 들의 평균은 7.50 이상이다. ( O / X )
답은 o가 되겠습니다. 문제에서 7.50을 기준으로 줬으니 이를 가평균으로 잡고 값들의 거리를 비교해 보면 되는데요. 비교할 때는 눈으로 기준 (= 7.50) 보다 큰 값과 작은 값의 위치를 먼저 파악하고 하나씩 또는 두 개씩 묶어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세로로 한 줄씩 비교해 보겠습니다. (편의를 위해 소수점 단위는 생략합니다.)
첫 번째 줄은 7.50 에서 - 24 가 빠지고 18이 더해지네요. 합은 -6 입니다.
두 번째 줄은 7.50 에서 - 9 가 빠지고 27이 더해지네요. 합은 18 입니다.
세 번째 줄은 7.50 에서 - 39 가 빠지고 39가 더해지네요. 합은 0 입니다.
총합은 12 네요. 이제 소수점을 다시 고려해 주면, 0.12 라는 값이 나오게 됩니다. 이를 가평균으로 설정했던 7.50에서 0.12 / 6 을 더해주면 평균 7.52 가 나오게 되죠. 따라서, 값 들의 평균은 7.50 보다 크게 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준비된 예제는 2문제입니다.
바로 풀어보시죠 !
어떠셨나요? 이번 시간에는 평균을 살짝 변화시킨 가평균을 알아보았는데요. 가평균의 핵심은 설정한 가짜 평균을 중심으로 거리의 차이를 더하거나 빼주어 진짜 평균을 찾아내는 것에 있습니다.
숙달이 된다면 눈으로 슥슥 보는 것만으로 판별이 가능해지겠죠. 간단해 보이지만 시간 단축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니 반드시 자기 것으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눈으로 푸는 ncs 여정은 '평균,가평균 : 거리 비교로 찾는 진짜 평균 (16)' 로 이어집니다.
평균, 가평균 : 거리 비교로 찾는 진짜 평균 (16)
이번 포스팅에서는 '평균, 가평균' 을 응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원리를 알았으니 실전에서 입맛에 맞게 변형할 수도 있어야겠죠 ㅎㅎ. 평균과 가중평균 그리고 가평균은 모두 '중심
seencs.tistory.com
자료해석 영역은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처음부터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자료해석 공부의 핵심 : 눈으로 읽고 빠르게 푸는 전략 (1)
처음 자료해석을 입문할 당시 제 얘기를 잠시 드리자면 '학부 시절 수학 과목에선 상위권을 놓치지 않았고, 수능 1등급이었는데 자료해석도 쉽게 풀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안일한 생각을 했습니
seencs.tistory.com
'NCS의 기초 > - 자료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각 비교 : 손 대지 않고 눈으로 푸는 비결 (17) (0) | 2024.06.10 |
---|---|
평균, 가평균 : 거리 비교로 찾는 진짜 평균 (16) (1) | 2024.06.10 |
평균, 가중평균 : 숫자 뒤에 숨겨진 지렛대의 원리 (14) (2) | 2024.06.10 |
평균, 가중평균 : 숫자 뒤에 숨겨진 지렛대의 원리 (13) (1) | 2024.06.09 |
평균, 가중평균 : 숫자 뒤에 숨겨진 지렛대의 원리 (12) (1) | 2024.06.09 |